콘크트 타설은 설계된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시공 단계 중 하나이다. 현장 여건과 자재, 장비, 인력 운용에 따라 품질에 큰 차이가 발생하므로, 체계적인 계획과 주의 깊은 관리가 요구된다.
타설 작업에 앞서 구조물 형상과 크기, 주변 지형, 양생 환경을 고려해 타설 순서와 작업 구간을 결정한다. 펌프카, 믹서트럭, 호스 라인 등 장비 동선을 사전에 시뮬레이션하고 필요한 인력과 장비 대수를 산정한다. 또한 비·눈·강풍 등 기상 변화를 확인해 우천 시 작업 중단 기준과 양생 대책을 마련한다.
거푸집의 강도와 밀폐 상태가 양호한지 점검한다. 누수나 변형이 발생하면 콘크리트 유동 중 압력으로 인해 크랙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장선과 버팀대를 충분히 배치해 견고하게 고정해야 한다. 철근 배근은 설계도서대로 정렬·고정되고 이격거리가 확보됐는지 확인하며, 철근 이음부와 겹침 길이가 충분한지 점검한다.
레미콘은 공장 출고 시 슬럼프, 공기량, 강도, 혼입재 품질이 기준에 부합하는지 시험성적서를 통해 확인한다. 현장 도착 후 수분 손실 및 침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1시간 이내에 사용하며, 긴 운반 거리가 예상될 때는 가소제나 감수제를 투입해 워커빌리티를 유지한다.
펌프카를 이용한 타설 시 배관 내부에 물을 채워 잔류 공기를 제거한 뒤, 시멘트 페이스트를 채워 잔존 공극을 없앤다. 호스 끝을 항상 수직으로 유지해 층간 분리와 블리딩 현상을 최소화하고, 레이팅 테이블을 통해 균일한 높이로 부어낸다. 손 타설이 필요한 구간은 플로팅 머신이나 덕트 버킷을 사용해 레미콘을 운반한다.
콘크리트 내부 공극을 제거하기 위해 진동기(바이브레이터)를 적정 간격으로 삽입해 다짐한다. 과도한 다짐은 분리 현상을 일으킬 수 있으니 1㎡당 4~6초를 권장한다. 다짐 후 표면에 남은 물기는 레벨링 레일로 밀어내고, 트로웰이나 스카칭 보드를 이용해 매끄럽게 마감한다.
타설 직후 급격한 수분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습포나 양생제를 도포한다. 기온이 높은 계절에는 휴일에도 일광 차단망을 설치하고 수시로 분무수를 공급해 콘크리트 표면 온도를 5℃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초기 양생은 최소 7일간, 고강도 콘크리트는 14일간 관리해야 설계 강도에 도달할 수 있다.
타설 중 거푸집 붕괴, 레미콘 누출, 장비 고장 등 사고 위험이 높으므로 작업 구역을 안전 펜스로 차단하고, 작업자에게 보호장구(헬멧·안전화·장갑)를 착용시킨다. 타설 완료 후 압축 강도 시험용 큐브 시편을 채취해, 7일·28일 강도 시험 결과로 품질을 최종 확인한다.
콘크리트 타설은 단순히 재료를 부어넣는 과정이 아니라, 설계 의도를 정확히 구현하고 장기적인 구조물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정밀 작업이다. 각 단계마다 철저한 계획과 관리, 현장 실무자의 숙련된 기술이 뒷받침돼야만 안전하고 견고한 구조물을 완성할 수 있다.
SCW(Soil Cement Mixed Wall)는 토양과 시멘트를 혼합하여 구성된 벽체로, 특히 기초공사와 지하공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1. 개요 Soil Cement Pile(소일 시멘트 파일)은 토양과 시멘트를 혼합하여 만든 기초 구조물로, 주로 건축물의…
Soil Cement는 주로 도로, 기초, 대형 건설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기술로, 흙(soil)과 시멘트(cement)를 결합하여 내구성이 뛰어나고…
1. PDD 공법의 개요 PDD(Permanent Double Drain) 공법은 건축 및 토목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배수…
1. 진공배수공법이란? 진공배수공법(Vacuum Drainage System)은 지하수의 배수를 개선하기 위해 적용되는 특수한 배수 공법입니다. 이 공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