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한 친구가 부모님을 여의었을 때, 조문은 물론 조의금 금액까지도 고민이 많아집니다. 너무 적게 내면 실례가 될까 걱정이고, 너무 많이 내면 오히려 부담스럽지 않을까 염려스럽죠. 특히 한국의 장례 문화는 지역, 관계, 연령 등에 따라 조의금 액수나 예절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더더욱 신중해져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친한 친구의 조의금에 대해 상황별로 구체적 가이드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1. 친한 친구의 부모상, 조의금 기본 기준은?
일반적으로 조의금은 관계의 친밀도, 본인의 사회적 위치, 경제적 여건 등을 고려해 결정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친한 친구의 경우, 아래와 같은 기준이 자주 활용됩니다.
- 평소 자주 연락하고 만나는 친구: 5만 원 ~ 10만 원
- 학창시절 친했으나 요즘은 드문드문 연락: 3만 원 ~ 5만 원
- 직장 동료이자 친구처럼 지낸 경우: 5만 원 ~ 7만 원
즉, 5만 원이 평균선이며, 우정의 깊이에 따라 상향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경제적 여건이 여유롭다면 10만 원도 적절한 범위에 포함됩니다.
2. 장례식에 가지 못할 경우, 조의금은 어떻게?
직접 조문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조의금은 전달할 수 있습니다.
보통 계좌 이체로 보내며, 송금 시 메시지에 간단한 문구를 남기면 예의가 됩니다.
예시 문구: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마음만 전합니다.”
- “부득이하게 조문하지 못해 죄송합니다. 마음을 담아 조의금 보냅니다.”
이럴 경우 3만 원~5만 원 선이 일반적입니다. 다만, 평소 아주 친한 사이라면 직접 찾아가거나 전화로 위로의 말을 전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3. 친구가 형제상·조부모상일 경우 조의금은?
친구 본인이 부모님이 아닌 형제나 조부모의 상을 당했을 경우, 조의금 액수는 조금 낮게 책정됩니다.
- 형제상: 3만 원 ~ 5만 원
- 조부모상: 2만 원 ~ 3만 원
단, 실제 친구의 가족 관계가 매우 밀접하거나 특별한 사정이 있다면 1~2만 원 더 올리는 것도 괜찮습니다.
4. 친구가 사회 초년생일 때는?
친한 친구가 아직 사회 초년생이거나 학생이라면, 그의 부담을 고려해 너무 과한 조의금은 오히려 민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땐 진심이 담긴 조문과 함께 5만 원 이내의 금액이면 충분합니다. 물론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다면 더 보탤 수도 있으나, 친구가 받을 때 위화감이 들지 않도록 배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조의금 전달 시 주의사항
- 현금은 반드시 봉투에 담아 전달
- 흰색 봉투에 ‘조의’ 또는 ‘근조’라고 적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계좌이체 시 예의 있는 문구 포함
- 단순 송금보다는 짧은 메시지라도 반드시 함께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 조의금은 받는 사람 이름으로 명확히 송금
- 가족 명의 계좌를 받는 경우, 이름 확인 후 실수 없이 송금해야 합니다.
참고할 수 있는 관련 정보 링크
마무리
친한 친구의 가족상을 접했을 때, 조문은 물론 조의금 역시 예의와 배려의 표현입니다. 금액보다도 진심 어린 위로의 말과 태도가 더 중요합니다. 적절한 조의금과 따뜻한 말 한마디가 친구에게 큰 힘이 될 수 있습니다. 너무 복잡하게 생각하기보다는 ‘내가 위로를 받는 입장이라면 어떤 조의금과 태도가 좋을까’를 떠올려보세요. 그런 마음이 가장 정답에 가까운 행동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