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딤돌대출(주택도시기금 지원) – 신혼부부 기준
한국주택금융공사(디딤돌대출) 기준에 따르면, 신혼가구(혼인신고 기준 초기)에 해당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소득 요건이 적용됩니다.
- 부부 합산 연소득 8,500만 원 이하
- 일반 서민(무자녀·일반 무주택) 기준은 6,000만 원 이하
- 생애최초 또는 2자녀 이상 가구는 7,000만 원 이하 기준이 있으나, 신혼부부는 이보다 상향된 8,500만 원 기준이 적용됨
이외 추가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 합산 순자산 4.88억 원 이하
- 세대주, 무주택, CB 신용점수 350점 이상 등 기본 조건 충족
- 주택 평가액 6억 원 이하, 전용면적 85㎡ 이하
📌 보금자리론(고정금리 장기 모기지) – 신혼부부 우대 기준
또 다른 공공지원 상품인 보금자리론에서는 다음과 같이 신혼부부 소득 기준을 상향 적용합니다:
- 일반 부부 기준 7,000만 원 이하
- 혼인신고일 기준 7년 이내 신혼부부(결혼예정자 포함)는 8,500만 원 이하
기타 요건:
- CB 점수 271점 이상
- 주택 가격 6억 원 이하
- LTV 최대 70%, DTI 최대 60%
- 만기 10~50년, 우대금리 최대 1.0%p 등
✅ 비교표 – 디딤돌 vs. 보금자리론 (신혼부부 기준)
항목 | 디딤돌대출 | 보금자리론 |
---|---|---|
연소득 기준 | 8,500만 원 이하 | 8,500만 원 이하 |
CB 신용점수 | 350점 이상 | 271점 이상 |
주택 평가액 한도 | 6억 원 이하 | 6억 원 이하 |
면적 한도 | 전용 85㎡ 이하 | 공부상 6억 · 주거용 주택 |
LTV | 최대 70% (생애최초 80%) | 최대 70% |
DTI | 최대 60% | 최대 60% |
대출한도 | 최대 4억 원 (신혼) | 최대 4억 2천만 원(생애최초 포함) |
대출만기 | 10·15·20·30년 | 10~50년 |
💡 왜 신혼부부에게 소득 기준이 높게 적용될까?
- 저출산·주거 안정 정책의 일환으로, 청년·신혼부부의 내집 마련 부담을 낮추기 위해 정부에서 소득 기준을 일반 서민보다 높게 설정했습니다.
- 또한 보금자리론은 고정 금리 장기 대출인 만큼 혜택 범위가 조금 더 넓습니다.

📌 추가 팁 – 자격 충족 체크리스트
- 무주택 세대주 여부 (공부상 주택 또는 분양권이 없어야 함)
- 혼인신고일 기준 신혼부부 (보금자리론은 신고일 7년 이내)
- 연소득 증빙: 소득금액증명서, 원천징수영수증, 사업소득자 자료 등
- 자산 기준: 총 순자산 4.88억 원 이하
- 담보 주택 조건: 평가액, 전용면적, 위치(규제지역)
- CB 신용 점수 확인
📎 관련 공식링크 정리
- 디딤돌대출 조건 및 안내 : 한국주택금융공사 디딤돌대출 안내 페이지
- 보금자리론 조건 및 안내 : 한국주택금융공사 보금자리론 안내 페이지
✍️ 마무리
신혼부부에게 적용되는 디딤돌·보금자리론의 소득 기준(8,500만 원 이하)은 정부가 청년 주거 안정을 위해 별도로 마련한 혜택입니다. 비교적 여유 있는 자격 요건 덕분에 무주택 상태에서 내집 마련 준비를 시작하는 신혼부부에게 강력한 옵션이 됩니다.
신청 전, 본인의 소득, 자산, 신용 점수, 주택 정보를 미리 확인해 두시고, 가장 유리한 상품을 선택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