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부부라면 가장 큰 고민 중 하나가 바로 ‘주거 문제’입니다. 집을 사야 할지, 전세로 시작해야 할지, 어떻게 대출을 받아야 할지 고민이 많은데요. 정부는 이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신혼부부 전용 대출 상품을 운영하고 있으며, 금리와 조건도 일반 대출보다 유리합니다. 이 글에서는 신혼부부 대상 대출 종류와 특징, 신청 자격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1. 신혼부부 전용 주택담보대출
신혼부부를 위한 주택담보대출은 정부지원 상품이 많습니다. 대표적인 것은 디딤돌대출입니다.
디딤돌대출은 생애 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무주택 세대주에게 제공되며,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갖춰야 합니다.
- 혼인 기간 7년 이내 또는 예비 신혼부부
- 연소득 합산 7천만 원 이하 (생애최초는 8천5백만 원까지 가능)
- 주택 가격 5억 원 이하
- 전용면적 85㎡ 이하
금리는 1.85%~3.15% 수준으로, 일반 주담대보다 매우 저렴한 편입니다.
2. 신혼부부 전용 전세자금대출
전세로 시작하는 신혼부부를 위해서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이 있습니다.
해당 대출은 전세 계약을 체결한 신혼부부에게 저리로 자금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혼인 기간 7년 이내 또는 혼인 예정자
- 부부합산 연소득 6천만 원 이하 (자녀가 있을 경우 7천만 원)
- 임차보증금 수도권 3억 원, 지방 2억 원 이하
- 대출한도 최대 2억 2천만 원
금리는 1.2%~2.1% 수준으로, 일반 전세자금대출보다 매우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3. 신혼부부 전용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 대출
전세 계약 시 가장 큰 위험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을 대비해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서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상품을 운영하며, 신혼부부를 위한 패키지 상품도 존재합니다.
이 보증을 가입하면, 만약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을 경우 HUG에서 보증금을 대신 지급합니다.
그리고 이 보증을 기반으로 한 전세자금 대출 상품도 가능하며, 보증서 발급 후 은행을 통해 대출이 진행됩니다.
4. 신혼희망타운 전용 모기지 대출
정부가 공급하는 신혼희망타운에 입주한 경우 받을 수 있는 특별한 대출입니다.
‘신혼희망타운 모기지’는 장기고정금리로 1%대 초저금리로 제공되며, 최대 30년간 원리금 상환이 가능한 전용 대출 상품입니다.
- 분양가의 최대 70%까지 대출 가능
- 연 1.3%~1.5% 고정금리
- 소득, 자산 기준이 있으며 입주자격에 따라 달라짐
5. 주택청약종합저축 활용
대출은 아니지만 주택청약종합저축을 통해 신혼부부 특별공급에 청약할 수 있고, 당첨 시 주택구입자금으로 정부지원 대출 연계도 가능합니다. 혼인 후 7년 이내이면 특별공급 대상에 포함되며, 경쟁률이 낮은 지역에서는 당첨 확률도 높습니다.
마무리: 신혼부부 대출 전략, 어떻게 세울까?
- 전세로 시작한다면 → 버팀목전세자금대출 + 반환보증 가입
- 집을 구입할 계획이라면 → 디딤돌대출 + 청약통장 전략
- 신혼희망타운 청약에 당첨됐다면 → 전용 모기지 대출 활용
상담 및 신청은 주택금융공사, 주택도시보증공사(HUG), 국민은행, 우리은행 등 금융기관 및 마이홈포털을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신혼이라는 시작점에서 ‘주거 안정’은 매우 중요합니다. 정부의 다양한 지원 상품을 적극 활용해 보다 안정적이고 합리적인 주거 선택을 해보시기 바랍니다.